도시 성벽이 남아있는 전세계 대도시들 


 

유머게시판

도시 성벽이 남아있는 전세계 대도시들 
댓글 0 조회   620

작성자 : 개장수11
게시글 보기
서울


몽촌토성
1738668295043276.jpg


1738668295337922.jpg

1738668295405719.jpg
백제의 수도로 추정되는 몽촌토성
둘레는 2.7km 높이는 6.7m 였다고 함



풍납토성
1738668295436164.jpg

1738668295687406.jpg

위의 몽촌토성과 함께 백제의 수도로 추정되는 풍납토성
백제 시절 둘레는 3.5km 높이는 최대 13m로 추정
여긴 백제의 수도일 가능성이 없다 보고 사적으로 지정 안하는 바람에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서 발굴이 아득함..
그래도 꾸준히 보상주면서 이주는 시키고 있음


한양도성
1738668295978146.png

한양도성 전도

조선의 수도인 한양을 둘러싸던 성벽으로 원래 둘레는 18.6km 였지만 평지 성벽은 일제시대에 철거되고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산지 부분 12km 정도만이 이후 정비와 복원을 거쳐서 현재까지 남아 있음

1738668295750235.jpg

한양도성 성벽


1738668295364820.jpg

한양도성의 정문이었던 숭례문



평양


평양성
1738668295025365.jpg

평양성 조감도

고구려의 수도였던 그 평양성을 기반으로 이후 고려와 조선 때도 계속 성을 보수함.
외성 중성 내성 북성으로 나뉘어 있고 둘레는 17km였음
동강과 보통강이 자연해자 역할을 했기 때문에 큰 성 치곤 상당히 방어력도 좋은편이었음.


1738668295759732.jpg
칠성문

1738668295995420.png
을밀대

1738668295701191.png

평양성의 정문인 대동문(한국전쟁 때 파괴된걸 북한이 복원했는데 원형보다 규모가 작아짐)


청일전쟁 때 쓰이고 일제시대 때 많이 철거되고 6.25때도 방어시설로 쓰이는등 수난을 많이 겪었지만 그래도 상당부분이 남아있음






난징(남경)


난징성(남경성)
1738668295591596.png

난징성의 4중 성벽

난징의 경우 명나라의 첫번째 수도였음. 1368년부터 25년간 명나라가 전력을 다해서 성을 건설했고
외성,내성, 황성, 고궁(자금성의 원형)까지 4중 성벽이었음. 도시를 둘러싼 성벽은 34km의 둘레에 12~25m의 높이였음. 현재는 25km의 성벽이 남아 있음.



1738668295474080.png

1738668296213175.png

1738668296447122.png

1738668296176719.png

난징성의 정문인 중화문

현존하는 중국 성문 중에 가장 큰 성문. 3겹의 옹성을 포함한 4중성문이며 옹성과 문을 합치면 길이가 128m나 됨.
원래 문루도 있었지만 중일전쟁 중 일본군에 의해 파괴됨. 


1738668296235089.png

과거 중화문을 나타낸 모형






시안(장안)


시안성(장안성)
1738668296208068.png

항공사진


1738668296936465.png

1738668296182748.png

1738668296669934.png



시안성의 경우 둘레가 13.7km로 규모 자체는 북경성이나 난징성에 비해 많이 작지만 현재 중국의 대도시를 두른 성벽 중엔 가장 원형 그대로 보존된 편인 성벽임. 
당나라 말기 장안성(원래 당나라 황성 성벽이었는데 당나라가 망해가던 말기엔 황성을 외성으로 씀) 성벽을 기반으로 명나라 초기 1370년부터 1378년까지 8년간 건설됨. 
문혁 때 철거하자는 얘기도 많이 나왔지만 시중쉰(시진핑 아빠 맞음)및 여러 인사들의 반대로 무산. 문혁 이후에도 교통이나 주거 때문에 철거하자는 얘기 있었지만 그때도 시중쉰이 반대함.










로마


세르비우스 성벽
1738668296114699.png

기원전 4세기 로마 방어용으로 건설한 성벽임
총 길이는 11km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 중.

1738668296433186.png

갈리에누스 개선문

원래 위 성벽의 관문이었지만 서기 3세기 즈음에 개선문으로 개조됨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1738668296790616.png

파란색이 세르비우스 성벽
빨간색이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1738668296292746.png

1738668296358691.png

1738668296461901.png

1738668296274934.png

성벽과 성문


이 성벽은 3세기 로마제국이 로마시를 둘러싸게 건설한 성벽으로 이전에 지은 세르비우스 성벽의 대체재였음.
세르비우스 성벽 이후 로마 시가지가 성벽 밖으로 크게 확대됐는데도 로마 사람들은 우린 강하니까 성벽 같은거 지을 필요없다고 자부심 느끼면서 성벽 확장 안하고 있었는데..
3세기 즈음 점점 로마가 기우는게 느껴지니 쫄려서 부랴부랴 지은게 이 성벽임.
성벽 길이는 19km에 달하는데 현재까지 잘 보존되어 있는 건 이후 로마황제들도 보수하거나 더 규모를 키웠고
서로마 멸망 이후로도 교황이나 로마를 먹고 있던 세력이 계속 보수하면서 요새로 사용했기 때문..
19세기 이탈리아 통일전쟁 때까지 실제 전투에 이용됐음

정작 이 성을 지은 로마제국은 성으로 별 재미를 못 봤는데 성의 방어력이 부족하다기보단 성을 지킬 병력이 부족했기 때문..
그래도 약탈이나 갑작스러운 습격을 막기에는 충분했다고 함.




이스탄불


콘스탄티노플 성벽
1738668296558380.png

성벽과 콘스탄티노플 지도

콘스탄티노플 성벽은 동로마제국의 수도였던 콘스탄티노플을 둘러싸고 있던 성벽으로 난공불락으로 유명한 성벽이었음. 
실제로도 외적에 의해 함락된 건 손에 꼽고 마지막으로 함락된 1453년에도 15만의 오스만군을 상대로 7000명의 병력으로 한달 반을 버팀. 
이 성의 경우 오스만 시기에 많이 파괴되서 복원된 부분이 많은 편
1738668297313160.png

테오도시우스 성벽

콘스탄티노플 성벽 중
5세기 테오도시우스 시절 지어진 성벽으로 삼중 성벽에 해자까지 있었음


1738668297280832.png

테오도시우스 성벽의 구조

1738668297079169.png

황금문

원래는 금장식이 있었다고 함

1738668297920709.png

실로케르코스 문


1738668297417856.png

콘스탄티노플을 정복한 메흐메드 2세가 들어왔다는 문

1738668297697755.png

바다랑 만나는 부분

해군으로 침공해오는 걸 방어하기 위해 원래 바다쪽에도 성벽이 길게 있었지만 현재는 이 곳 말고 남아있지 않음

1738668297805228.png

동로마가 보스포러스 해협을 막는데 쓰였다는 쇠사슬





개장수11님의 최신 글
유머게시판
제목
  • 한국에 RTX 5090 수량이 부족한 이유
    880 02.04
  • 국민연금이 진짜 ㅈ되는 날짜..
    642 02.04
  • 또 터졌다는 중국게임 표절 논란
    625 02.04
  • 개빡센 명절 이동 루트 레전드
    675 02.04
  • 남자 여자 현실 몸매 등급표
    710 02.04
  • 인공 장기가 보편화 되면..
    821 02.04
  • 대머리 능욕하는 비니
    863 02.04
  • 안먹는 사람은 절대 안먹는다는 해장국
    705 02.04